본문 바로가기
정형외과 질환

턱통증-턱관절

by 김크미 2023. 11. 9.
반응형

오늘은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턱관절에 대해 알아보자.
턱관절은 말할 때, 숨 쉴 때, 밥 먹을 때 등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이다.
턱관절염증, 혹은 턱통증으로 인해 정형외과나 치과를 방문하는 사람이 심심찮게 있는 편이다.
초기에 집에서 관리만 잘해줘도 회복이 빠른 편이기 때문에 
방치하지 말고 방법을 알아보자.

먼저 턱관절에는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중요한 3가지 근육이 있다.

바로 측두근, 교근, 익돌근이 있다.

 

 

턱근육
턱근육



측두근 :  입을 꽉 물었을 때 옆머리에 힘이 들어가는 부분이다.
큰 가리비모양으로 머리와 연결돼 있어서 두통 발생 시 턱이랑 연관이 있을 수도 있다.

교근 : 이를 꽉 물면 뺨 쪽에 볼록 튀어나오는 부분이다.
음식물을 많이 씹으면 발달하는 근육으로 보톡스 시술을 많이 하는 부분이다.

익돌근 : 턱을 앞으로 빼내며 입을 벌리고 음식을 깨물고 입을 다물고 하는 역할을 한다.
턱관절과 디스크를 붙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안쪽에 위치한다.

 

 

 

 


턱통증원인

 

 

 

 

  • 햄버거나 쌈 같은 음식을 먹기 위해 입을 크게 벌린 후
  • 하품으로 인해 입을 크게 벌린 후
  • 치과 치료 중 입을 크게 벌린 상태로 오래 있었을 때
  • 부정교합


보통 본인의 턱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 이상으로 움직 하게 되면 그 주변 인대에 무리가 올 수 있다.

 

 

 

 

 

 

 

 

 


턱통증증상

 

 

 

  • 턱을 움직일 때 턱에서 탁탁 소리가 난다
  • 입이 잘 벌어지지 않는다
  • 턱이 아프다

 

 

 



턱통증치료

 

 

  1. 움직임을 줄여 턱을 쉬게 해 준다
  2. 입을 크게 벌리지 않는다
  3.  하품할 때 턱 잡고 하기
  4. 질긴 식사는 피하고 부드러운 식사하기
  5. 따뜻한 찜질
  6. 약물치료(소염제 복용, 또는 스테로이드주사치료가 있다)
  7. 물리치료
  8. 턱관절 강화운동
  9. 바른 자세유지

 

 

 



턱관절 강화 운동방법

 

 

 


1. 혀를 입천장에 붙인 후 치아를 맞물리지 않게 하여 입 다물기
-이 자세가 턱의 올바른 위치이며 평상시 자주 하는 것이 좋다.

2. 윗니, 아랫니, 설소대가 일직선이 되도록 유지하는 연습을 한다.

3. 손바닥을 턱 밑에 대고 얼굴방향으로 지그시 밀어준다

4. 목 스트레칭 해준다

5. 어깨 스트레칭 해준다.

 

 

 

 

 

 

 

 


턱통증예방

 


1. 입 크게 벌리는 행동을 삼간다.

2. 올바른 자세를 유지한다

 

 

 

 

 


결론

 

 

 

 

 

 

 


오늘은 턱관절문제로 발생하는 턱통증에 대해 알아보았다.
턱관절문제로 발생하는 턱통증 관리는 생각보다 간다 하고 만성 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회복력도 빠른 편이다.
그렇지만 그냥 방치하게 된다면 통증이 오래 지속될 수 있고 약해진 근육으로 인해 습관성 탈구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초기에 병원 진료 후 관리를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증상이 자주 반복하는 사람은 입을 크게 벌리는 행동을 삼가고, 운동방법을 통해 통증 발생을 막아주는 것이 좋다.

추가로 턱이 빠지는 경우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턱의 움직임에 따라 관절 부분에 탈구가 발생할 수 있다. 턱이 빠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때에는 입이 다물어지지 않으며 침이 계속 흐를 것이다.
힘주고 긴장하면 통증이 더 발생하기 때문에 힘을 빼고 긴장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턱을 제 위치로 다시 맞춰줘야 하는데, 병원이 가까이에 있으면 방문하는 것이 좋고,
방문하기 어려운 상황이면 턱 아래 부분을 아래로 한번 더 내린 후 들어서 맞춰주면 되는 방법이 있다. 조금 어렵긴 하지만 이 글을 읽은 김에 숙지해 두면 도움이 될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