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만 스쳐도 아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통풍.
오늘은 이 통풍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엄지발가락에 제일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방치하지 말고 제대로 알아보고 관리하자.
통풍이란 무엇인가
통풍이란, 혈액 내에 요산이 과다하게 축적되며 염증을 일으키는 병이다.
그렇다면 요산은 무엇인가,
요산이란 음식을 섭취 후 소화되어 마지막에 나오는 물질이다.
정상적으로는 소변으로 배출이 되어야 한다.
통풍 원인
1. 유전
- 10% 미만으로 거의 없다.
2. 식습관
- 술, 육류, 생선등 퓨린이 많은 음식 섭취
3. 신부전증 환자
- 요산 배출이 잘 안 됨
4. 심혈관계 질환 환자
5. 근육량이 많은 사람
6. 약물복용.
- 아스피린, 이뇨제, 면역억제제 약물은 요산을 올릴 수 있다.
통풍 증상
1. 무증상
2. 엄지발가락에 증상이 가장 많이 생기며,
발목, 무릎 등 관절이 붓고 열나며 붉어지고 통증이 심함.
3. 이불에 스치기만 해도 통증이 너무 심함.
4. 밤에 잠을 못 잘 정도로 통증이 심함.
통풍진단
1. 피검사
-제일 대표적으로 요산수치를 확인한다.
혈중 내 요산수치 정상범위는
여성은 2.4~6.0mg/dl이며 남성은 3.4~7.0 mg/dl이다.
하지만 요산수치가 높다고 전부 통풍으로 진단을 하지는 않는다.
요산수치가 높고 증상이 동반함에 따라 진단한다.
2. 관절액을 뽑아 확인한다.
3. 초음파
4. x-ray, CT 촬영
통풍치료
1. 약물치료
-요산 수치를 낮추기 위한 약물치료와 통증 조절을 위한 소염제약물 치료를 바로 시행하는 게 좋다,
또한 증상이 없어도 한번 증상이 있던 사람은 발병률이 높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2. 급성통증 발생 시 얼음찜질을 하는 것이 좋다.
3. 식습관조절
-요산을 높이는 음식은 먹지 않는 게 좋다.
(술, 고등어, 내장고기, 조개류, 단 음식 등)
반대로 요산을 낮추는 음식으로 먹자
(물, 유제품, 채소, 바나나, 오이, 비트 등)
4. 심혈관질환 치료 및 관리하는 것이 좋다.
5. 규칙적인 운동.
통풍 예방
1. 정기검진 때 피검사하여 나의 요산 수치 알고 있기.
-요산 수치가 높은 사람은 증상발병률이 높다.
2. 식습관개선.
- 요산을 높이는 음식 제한하기.
3. 신부전증 환자, 심혈관계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질환관리를 잘해준다.
결론
통풍은 증상 발생 시 양말을 신기 어려울 정도의 통증이 동반되기 때문에 예방과 관리가 중요하다.
정기검진시 통풍 검사를 통해 나의 요산수치를 알고 있는 게 중요하며,
요산수치가 높은 사람은 식습관을 중요하게 관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증상 발병 시 매운 높은 통증이 있기 때문에 바로 병원을 내원하는 것이 좋으며,
만성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니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만성통풍의 경우 요산이 쌓여 혹처럼 생기는 요산결절이 생기며
이는 관절을 상하게 하고 신장 또한 나빠지게 될 수 있으니 관리를 열심히 해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