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탈구 shoulder dislocation
오늘은 많이 들어봤을 만한 어깨 탈구에 대해 알아보자.
어깨는 우리 몸 중에 탈구가 제일 많이 발생하는 부분이다.
넘어지거나 운동 중에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또한 어깨의 탈구 같은 경우에는 재발성률이 높은 습관성탈구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가 굉장히 중요하다.
오늘 이 시간을 통하여 어깨 탈구에 대한 특징과 치료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가면 좋을 것 같다.
어깨탈구란
어깨와 팔꿈치 사이의 길고 큰 뼈인 상완골이 있다.
이 상완골이 어깨 관절에서 분리되는 것을 말하며
흔히 어깨가 빠졌다고 말하는 것으로 정확한 명칭은 어깨탈구이다.
어깨의 탈구가 발생하게 되면 단순히 어깨관절에서 분리되는 것뿐만 아니라 주변의 조직들까지 손상을 입게 된다.
어깨탈구 원인
- 선천적
-선척적으로 어깨관절을 지탱해 주는 구조가 약한 경우 - 외상(가장 대표적이다)
-운동이나 넘어짐,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 습관성
-탈구진행시 제대로 된 치료를 하지 않아 어깨관절 주변 구조가 약해진 경우 습관성으로 탈구가 진행될 수 있다.
어깨탈구 증상
- 통증이 굉장히 심하다
- 팔이 움직이지 않는다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경손상이 생긴다
- 저림 증상이 발생하고 감각이 둔해진다
어깨탈구 진단
- x-ray
-x-ray 검사로 진단이 가능하다
- 초음파
-초음파를 통하여 어깨 관절 주변의 힘줄과 인대의 손상을 확인한다.
어깨탈구 치료
1.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정형외과를 방문하여 도수정복술을 받아야 한다.
*도수정복술이란
도수 = 맨손으로
정복 = 정상으로 복원시킨다
어깨탈구 도수정복술 = 수술이나 기계가 아닌 맨손으로 탈구(빠진)가 된 어깨를 다시 원위치시키는 의료행위.
2. 재탈구 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보호대, 보조기를 착용해야 한다.
(4주 정도 착용해야 한다)
3. 보호대, 보조기를 제거한 후 상태에 따라 움직임의 제한이 남아있으면 재활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물리치료, 스트레칭,
4. 수술적 치료
-도수정복술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어깨탈구 예방
- 근력운동
-근력운동을 통해 불안정안 어깨관절을 튼튼하게 잡아줄 수 있다. - 스트레칭
-일상생활을 하거나 운동을 하기 전에 스트레칭을 통하여 근육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결론
오늘은 어깨 탈구에 대해 알아보았다.
어깨 관절은 우리 몸에서 관절운동 범위가 가장 큰 관절이다.
360도로 회전이 되는 만큼 그만큼 불안정성을 가진 관절이다.
이에 따라 외상으로 인하여 탈구가 잘 되는 부분이다.
탈구가 되면서 주변 인대와 힘줄의 손상이 같이 발생한다.
이때 제대로 된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더 불안정성으로 남게 되면서 습관성탈구로 이어지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따라서 어깨탈구가 발생했을 시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증상발생 시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정형외과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