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형외과 질환

결절종치료하기

by 김크미 2023. 11. 26.
반응형

결절종 ganglion 

 


오늘은 결절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이름이 조금 생소할 수 있지만 이 질환으로 정형외과를 찾는 사람은 많은 편이다.
치료 방법이 여러 가지 있으니 미리 숙지해 두고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의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결절종 이란

 

간단하게 말해서 물혹이다.
종양이라고 말하기는 애매하지만 종양과 비슷한 형태이다

그 속에는 노란색을 띠며 젤라틴 같은 끈적이는 액체로 구성돼 있다.

피부 표면에 혹처럼 나있기 때문에 암이 아닐까 라는 생각으로 보통 사람들이 겁을 많이 낸다.

하지만 암이 아닌 액체로 구성돼 있는 혹이기 때문에 치료방법이 비교적 간단한 편이다.

 

 





결절종 원인

 

원인미상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결절종 증상

결절종 증상

 

보통 손등이나 손목 부분에 많이 생기는 편이다.

무통증 - 통증이 없다.
단단한 혹처럼 생겼다.

 

 

 

 



결절종 진단

 

 

 

  • 육안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부가 액체로 돼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절종 치료


결절종은 재발률이 높다.

 

  • 자연소멸
  • 외부압박 - 그 부분을 순간적인 힘을 이용하여 눌러주면 터지면서 자연적으로 흡수된다
  • 주사기흡입 - 주사기를 이용하여 빨아드리는 방법이 있다
  • 수술적 치료 -절개를 통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보통 제일 안전한 방법으로는 외부 압박이다.
순간적인 힘을 이용하여 눌러주거나,
손목 부분 같은 경우에는 손목을 구부린 상태에서 벽 같은 곳에 대고 터트리는 느낌으로 눌러주면 터지게 된다.
주사기 흡입은 감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외부압박으로 터지지 않을 때, 일상생활에서 너무 불편하거나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때 시도하면 좋은 방법이다.
수술적 치료는 잘하지 않는다.

 

 

 

 


결절종 예방

 

결절종 예방 방법은 아직 없다.

 

 

 

결론

 

오늘은 조금 생소한 결절종에 대해 알아보았다

증상사진을 보면 지금 가지고 있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경험해 봤던 사람도 있을 것이다.

통증은 없는 편이고 주로 손등이나 손목에 많이 생기는 질환으로 발병률이 높은 편이다.

하지만 자연소멸 되기도 하고 외부압박이라는 치료방법으로 치료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는 없다.

치료하기 전에 정확한 진단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증상 있을 시 병원에 방문하여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주사기로 흡입할 시에는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반응형